"2030 에너지 신산업 확산전략(5개년기본계획), 2015.11, 관계부처합동" 자료입니다.
참고하세요.
2030 에너지 신산업 확산전략(5개년기본계획), 2015.11, 관계부처합동.hwp
|
□ 新기후체제 출범에 대응한 에너지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
ㅇ 우리나라의 에너지 산업은 석탄, LNG, 원자력 등 화력 발전소가 중심이 되는 중앙 집중형 공급방식으로 고착화
* 국내발전 비중(’14년, %) : (석탄)39.3, (원자력)30.0, (LNG)20.4, (석유)1.4, (기타)8.9
ㅇ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탄소배출이 높은 에너지 분야에서 친환경 연료전환, 분산형 발전, 에너지 효율화 등의 노력이 필요
□ 이에, 온실가스 감축의 실질적 대안으로 ‘에너지 신산업’을 주목
ㅇ 미국, 유럽, 중국 등에서는 신재생에너지, ICT 기술 등을 접목한 에너지 신산업에 대하여 적극적인 투자를 추진 중
* (중국) 태양광 발전 총 395억불 투자(’11~’15) (미국) 스마트미터 36억불 투자(’13)
ㅇ 우리나라도 작년부터 에너지 신산업 중요성을 인식하고, 단기 사업화가 가능한 8大 사업 중심으로 초기시장 창출에 주력
* 에너지신산업창출방안 발표(’14.7), 에너지신산업 대토론회 개최(’14.9) 등
□ 다만, 중장기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기업에서 적극적 참여 주저
ㅇ 에너지 산업 특성상, 대규모 투자, 장기간 운영 및 관리가 요구되므로 에너지 신산업 시장 진출에 있어 기업의 확신이 중요
ㅇ 현재의 에너지 신산업 정책은 단기 성과목표 중심으로 되어 있어,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기에는 다소 한계
新기후체제 출범에 대응하여 주요국에서 과감한 에너지 정책 추진
ㅇ (新기후체제) 기후변화 위기의 심각성에 따라, 선진국 중심의 ‘교토의정서 체제’에서 모든 국가가 참여하는 ‘新기후체제’로 전환
ㅇ (주요국 동향) 미국 등 주요 국가에서는 온실가스 배출이 높은, 에너지 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과감한 정책 추진 시도
< 참고 : 글로벌 국가 동향 >
글로벌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에 따라 대규모 신시장이 창출
ㅇ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효율화 등 ’30년까지 총 12.3조불 규모의 투자가 발생*될 것으로 전망 (IEA)
* 투자내역 : 신재생에너지 4조불, 수송․산업․빌딩 에너지효율화 8.3조불
ㅇ 일부 국가에서는 신재생 에너지, 전기차 부분을 중심으로 에너지 신산업을 통한 혁신이 가시화 되기 시작
또한, 신재생에너지, IT 혁신에 따라 글로벌 기업의 투자 가속화
ㅇ (기술 향상) 신재생 에너지, ESS 등 핵심 분야의 기술 향상 따라 단가가 크게 하락되면서, 에너지 신산업 경제성이 확보되기 시작
* (태양광, 원/kWh) 436(’11) → 174(’15), (ESS, 억원/MWh) 14.8(’13) → 8.2(’15)
ㅇ (글로벌 기업) 최근 글로벌 IT 기업을 중심으로 에너지 플랫폼 사업 분야로 영역을 확장하는 추세
최근, Post-2020에 대한 ‘보다 진전된’ 온실가스 감축 목표 제시
ㅇ 신기후체제 출범에 대응하여,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30년 배출전망치 대비 37% 감축안으로 UN에 제출
* 국제시장을 활용분 11.3%를 제외하면, 실질적인 감축 부담은 25.7% 수준
ㅇ 이는, 우리나라의 국제적 책임과 기후변화 대응 리더쉽을 고려, 당초안(15~30%) 대비 상향된 목표로 국내 산업의 과감한 혁신이 요구
특히, 탄소배출이 높은 우리 에너지 산업은 구조적 어려움에 직면
ㅇ (수입의존도 심화) 대부분의 에너지원을 해외에 의존(96%)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 수입(5,255억불)의 1/3 이상을 차지
* 에너지 수입 현황(억불) : (’11) 1,724 → (’12) 1,848 → (’14p) 1,741
ㅇ (중앙집중형 공급) 대규모 화력발전 중심의 전력 공급방식으로, 발전소 지역편중*, 송전탑 건설 등 사회적 수용성 문제 발생
* 시도별 발전비중 : 서울(0.1%), 충남(23.5%), 전남(14.0%), 경남(14.5%) 등
ㅇ (산업 혁신 지연) 국민생활·경제성장의 기반 인프라로서의 역할(수급안정, 정책가격 등)이 강조되어, 타산업에 비해 산업 혁신이 지체 또한, 주력산업 저성장 국면에 따라,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 필요
ㅇ 글로벌 수요침체, 중국과의 경쟁격화 등에 따라, 철강, 자동차 등 수출 중심의 우리 주력산업의 성장세가 둔화되는 추세
ㅇ 아울러, 국내 기업의 수익성도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성장 한계 돌파를 위해,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이 중요한 시점
* 영업이익률 : (’80년대) 8% → (’90년대) 6% → (’12년~) 3% (출처 : KIS-Value)
세계 최고수준의 ICT 기술을 토대로 에너지 산업과의 접목 시도
ㅇ 에너지 신산업의 핵심 요소가 되는 ICT 분야(IT 네트워크, ESS 등)에 있어 국내 기업이 세계 최고 수준의 글로벌 경쟁력 보유
* ESS 세계시장 점유율(’14년 기준) : 삼성 SDI(23.6%), LG 화학(20.0%)
ㅇ 국내 ICT 기업에서는 신재생에너지+ESS` 등 다양한 융복합 사업추진을 통해, 에너지 신시장 창출을 견인
< 주요 기업 사례 >
에너지 신시장 창출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제도적 기반 마련
ㅇ (정책 수립) 에너지 자립섬 등 유망 사업 발굴을 포함한 ‘에너지 신산업 창출방안’을 수립하고, 차질 없이 이행 (’14.7~)
* 에너지신산업 활성화 이행계획(’15.4), 친환경에너지타운 신규사업(’15.4) 등
ㅇ (제도 기반) 사업의 수익성 확보를 위해 제도적 인센티브를 마련하고, 일부 사업의 경우에는 새로운 시장제도를 신설하여 운영
* 풍력 연계형 ESS의 REC 가중치 부여, 수요자원 거래시장 개설 등
초기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정부의 마중물 역할 강화
ㅇ (대규모 프로젝트) 친환경에너지타운(13개소), 제로에너지빌딩(5개소), 울릉도 에너지 자립섬 등 주요 프로젝트 본격 추진
ㅇ (해외 진출) 한국 전력 등 공공 기관이 중심이 되어, 국내 중소 기업의 에너지 신산업 동반 해외 진출* 지원
* 캐나다 배전급 마이크로그리드 실증사업, 모잠비크 마이크로그리드 시범사업
< 사업별 주요실적 (요약) >
신기후체제 출범, 미래 트렌드 대응 ☞ ‘에너지 산업의 혁신‘ 촉발
ㅇ 신기후체제 출범, 산업간 융합가속화 등 글로벌 환경변화에 따라, 안정적 수급에 맞춰 구조화된 기존 에너지 산업의 변화 불가피
* 분산형 신재생에너지 확산, 스마트그리드를 통한 에너지 정보 및 거래 활성화 등
ㅇ 또한, 에너지 신산업 8大 사업모델에서 소기의 성과를 도출함에 따라, 중장기 미래를 대비한 산업화 전략(확산단계)으로 전환 필요
* 특히, 장기 투자가 소요되는 에너지 산업 특성을 고려, 단기 정책으로 추진 중인 에너지 신산업에 대하여 기업에서 투자를 주저(에너지신산업투자협의회,’15.6)
자생적인 시장 생태계 조성 필요 ☞ ‘대규모 시장 창출‘ 전략
ㅇ 현재의 에너지 신산업은 개별 시범사업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자생적인 시장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규모로 확대*할 필요
* 예시 : (현재) 에너지 자립섬 6개 → (개선) 도서지역, 산업단지, 대학 등으로 확대
ㅇ 글로벌 에너지 신시장 진출을 위해서도 국내 시장을 기반으로 우리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우선
보다 다양한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 촉진 ☞ ‘제도 기반 혁신‘
ㅇ ICT 융합 등 산업간의 융합에 따라 기존의 에너지 사업자가 아닌 다양한 분야의 사업자에서도 에너지 신산업에 참여 가능
ㅇ 다양한 사업자들이 자유롭게 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시장진입 장벽 완화, 안정적 투자환경 조성 등 법제도 개편 필요
* 마이크로그리드 사업의 경우, 현재 법적 근거가 없어 사업 개시에 애로
이하 중략 |
'환경부문별 자료 > 통합환경관리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환경조사 방법 및 등급분류기준 등에 관한 규정(개정전문)(환경부훈령제1661호, 2015.07.17) (0) | 2017.07.03 |
---|---|
건설기술자 등급 인정 및 교육훈련 등에 관한 기준(개정전문)(국토교통부 고시 제2017-281, 170502) (0) | 2017.07.03 |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치 및 관리지침, 2013.11, 환경부 (1) | 2017.07.03 |
2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82-1991), 1982, 대한민국정부 (0) | 2017.06.28 |
1차 국토종합개발계획(1972-1981), 1971, 대한민국정부 (0) | 2017.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