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부문별 자료/각종 통계자료 등

절성토 구간의 발생사면 제시방법, 2010.12, 낙동강유역환경청

 

 

 

"절성토 구간의 발생사면 제시방법"입니다.

 

 

관련내용만 발췌하였습니다.

 

 

업무에 참고하세요.

 

 

 

절성토의 형태는 지형 형태에 따라 대체로 5가지로 나눌 수 있음. 그 기준은 대체로 중심고와 사면고의 높이의 차이로 나눌 수 있음

 

[그림] 성토부를 표현

(평가서에 절토사면고(HL)가 반드시 표현되어야 한다)

용어정의

절토고(Ho) : 계획절취 지반고의 중심선에서 현재의 지반고까지 절취되는 수직높이

성토고(+Ho) : 현재의 지반고에서 계획절취 지반고의 중심선까지 성토되는 수직높이, 편의상 + 기호를 붙여서 사용함

절토사면고(HL, HR) : 계획절취 지반고에서 좌우측의 사면의 절취로 발생하는 사면의 수직높이를 말함. 좌측 사면고를 HL, 우측 사면고를 HR로 함

성토사면고(+HL, +HR) : 성토구간에서 계획절취 지반고의 가장자리에서 사면이 현 지반고와 만나는 지점까지의 수직높이를 말함. 편의상 + 기호를 붙인다. 좌측 성토사면고를 +HL, 우측 성토사면고를 +HR로 함

절토사면길이(S) : 계획절취 지반고의 가장자리에서 절토사면이 발생한 최정상부까지의 길이를 말함. 왼쪽 사면길이(SL), 오른쪽 사면길이(SR)로 함

토심고 (Do) : 계획절취 지반과 절토사면의 사이각의 반의 각도로 수직선을 그렸을 때, 현지반고와 만나는 곳까지의 길이를 말함. 터널을 고려할 때 토피고가 충분하게 나올 수 있는가를 검토하는 데 용이한 지표가 됨

절성토 규모의 제시 방법

성토 규모는 <>의 형식에 맞추어서 작성하는 것이 평가서의 작성과 검토에 편리함

[] 성토부의 위치와 규모 및 표시방법

위치

(STA)

좌측사면

중심부

우측사면

지형형태

사면길이

(SL)

사면고

(HL)

성토고

(Ho)

사면고

(HR)

사면길이

(SR)

0+500

28

25

26

24

23

I

1+000

13

10

40

10

14

II

2+500

40

35

5

+18

+15

III

3+500

24

20

+17

+25

+42

IV

4+400

+17

+12

+30

+14

+18

V

성토부는 + 기호로 표시하여 절토부와 구분함

절토고나 절토사면고 중 어느 하나라도 30m 이상 발생하는 구간과, 또한 성토고나 성토사면고 중 어느 하나라도 15m 이상 발생하는 구간은 칸에 농담표시를 하여 구분함

터널부와 교량부는 제외함. 단 터널입출구와 인터체인지도 포함하고 지형형태에 터널입출구부는 T, 인터체인지는 IC로 표시함

성토가 발생하는 구간을 평가서의 도면에 기재하는 방법

평면도를 확인하여 절성토 예정구간을 확인함

종단면도를 기준으로하여 절토고를 확인함

성토 구간에 대하여 횡단면도를 참조하여, 주요 절성토 구간에 횡단면선을 기입함

횡단면도상에 절성토고, 사면고, STA을 기입함

지형형태는 아래의 그림을 참조하여 기입함

성토 발생구간의 선정 기준

계획노선의 절성토가 다음의 기준을 넘는 지역은 <10-1>에 기입하고, 단면의 위치를 평면도에 표시함

- 절토고 25m 이상인 지역

- 어느 쪽이든 절토 사면고가 30m 이상 되는 발생지역

- 성토고 10m 이상인 지역

- 어느 쪽이든 성토 사면고가 10m 이상 되는 발생지역

위의 구간 중 주요한 지역은 다음의 사항을 횡단면도에 제시함(표준횡단면도와 대체로 유사)

- 측점

- 지반고, 계획고, 절토고, 성토고, 사면고

- 소단의 사면길이, 소단의 폭, 사면의 경사 비율(높이:밑면 길이의 비율)

- 성토 구간이 연속적으로 길게 발생할 경우에는, 최대 절토 및 최대 편사면고가 발생하는 구간만 제시함

- 주요한 구간의 횡단면도는 경우에 따라 필요시 지질이나 토질의 상태를 표시함

토질의 경우, 공학적인 암반 분류(붕적토, 풍화암, 연암, 경암 등)와 두께를 표시함

지질의 경우, 암석의 종류, 지층의 주향과 경사, 단위 지층의 두께, 지질구조(층리, 편리, 엽리, 선구조 등) 등을 표시함